[앵커]<br />서해안지역에서 AI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부산시가 AI로 통제했던 낙동강 하구 자동차 캠핑장을 개방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부산지역은 이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고 야외 활동 인구가 느는 시기여서 이런 결정을 했다고 하는데 아직 겨울 철새가 다 떠나지 않아 조금 이른 결정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종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낙동강 하구에 자리한 부산 삼락생태공원.<br /><br />4백7십만 제곱미터에 이르는 넓은 부지 가운데 절반가량이 AI 때문에 통제구역으로 지정됐던 곳입니다.<br /><br />삼락생태공원에서는 지난 1월 3일 고병원성 AI에 감염된 쇠기러기 사체가 발견됐고 1월 23일에는 야생조류 분변에서 저병원성 AI 양성반응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얼마 전 부산시는 자동차 캠핑 장과 잔디공원 등을 기존 통제 구간에서 제외했습니다.<br /><br />대신 철새 먹이활동이 잦은 강변 산책로를 새로운 통제구간으로 정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6주 동안 순찰과 검사에서 이상 징후가 나오지 않은 가운데 야외 활동이 느는 시기를 맞아 광범위한 통제구역에 대한 민원이 잇따른다는 이유에서입니다.<br /><br />[이채식 / 부산시 낙동강관리본부 공원관리팀장 : 자동차 캠핑 장 개장에 맞춰 종합적으로 검토해 통제할 부분은 확실히 통제하고 해제할 부분은 해제하려고 적극적으로 검토해 판단한 겁니다.]<br /><br />하지만 겨울 철새가 다 떠나기 전인만큼 이런 결정은 신중하지 못하다는 주장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최수영 / 부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: 혹시 직간접적으로 철새 감염 경로에 사람이 노출될 수 있어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봅니다.]<br /><br />철새도래지인 을숙도에 있는 낙동강하구 에코센터의 경우는 새 학기 시작과 함께 현장체험 학습이나 관람 문의가 잇따르고 있지만 다 떠나지 않은 철새 때문에 시설 개방을 미루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최근 서해안을 따라 AI 재확산 조짐까지 보이면서 부산시 결정이 이르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종호[ho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305025039048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