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삼성 '컨트롤 타워'는 고 이병철 창업주의 비서실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요.<br /><br />지난 58년 동안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며 삼성의 도약을 이끌었지만, 총수 지배력 강화라는 태생적 한계로 부작용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김병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삼성 미래전략실의 전신은 지난 1959년 고 이병철 창업주가 만든 비서실입니다.<br /><br />총수의 경영 목표를 계열사로 빠르게 전파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조직이 필요했던 겁니다.<br /><br />실제로 이곳 비서실 출신인 이학수 전 부회장과 김인주 전 사장 등은 오랫동안 삼성 경영에 직·간접적으로 관여했습니다.<br /><br />대외적으로 꼭꼭 숨겨졌던 삼성의 '컨트롤 타워' 조직이 세상이 알려진 건 지난 1998년 구조조정본부로 간판을 바꿔 달면서부터입니다.<br /><br />구조조정본부는 다시 2006년 전략기획실로 옷을 바꿔 입었고, 2008년 4월 삼성 비자금 특검으로 해체됐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중장기 투자와 미래 먹거리 발굴이라는 명목으로 지난 2010년 현재의 미래전략실로 화려하게 부활했습니다.<br /><br />삼성은 컨트롤 타워 운영으로 전략과 관리 그리고 인사 등 계열사 전반을 챙기는 문화를 구축하며 '관리의 삼성'이라는 별칭을 얻었습니다.<br /><br />반면에 총수의 그룹 지배력 강화를 위한 특수조직 성격이 짙어 논란이 끊이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[김상조 /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 : (삼성 미래전략실은) 막강한 권한을 행사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고 있습니다. 많은 경우 무리한 판단을 하게 되고, 이것이 심지어 불법행위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.]<br /><br />결국 삼성의 미래전략실은 국정농단의 주범인 최순실 특혜 지원과 정경유착의 당사자로 지목되면서 58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국내외 삼성 계열사가 4백여 개에 달하는 만큼 어떤 형태로든 컨트롤 타워 역할의 재등장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YTN 김병용[kimby1020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22822032274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