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'사드' 부지를 제공한 롯데를 겨냥해 중국 당국과 업체들의 전방위 압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롯데는 긴장 속에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고, 중국에 제품을 수출하거나 진출한 다른 기업들도 불똥이 튀지 않을지 크게 우려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롯데면세점 인터넷 홈페이지가 갑자기 먹통이 됐습니다.<br /><br />3시간여 동안 중국어 등 모든 언어로 된 홈페이지와 모바일 서비스가 중단된 겁니다.<br /><br />외부 바이러스 침투 공격을 받은 롯데그룹 중국 홈페이지도 사흘째 접속이 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모두 롯데의 사드 부지 제공에 대한 중국에서의 보복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당국은 이런 가운데 중국 롯데마트 10여 곳에서 위생·안전과 소방 점검을 벌였습니다.<br /><br />롯데 측은 소비자 불매 운동 확산을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피해 규모도 공식적인 집계가 나오지 않았지만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[롯데그룹 관계자 : 최대한 빨리 중국 현지의 (상황을) 파악해서 사업장별로 발생할 수 있는 일, 예상되는 일을 빨리 준비하고 빨리 공유해서 대응책을 만드는 게 제일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앞서 중국 당국은 삼성SDI와 LG화학의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고, 한국 항공사 전세기 운항을 금지하는 등 지난해 말부터 압박을 벌여왔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중국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화장품 업계와 식품업계는 물론, 중국 관영매체인 환구시보의 공개 경고를 받은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 대기업들 역시 이번 사태의 파장이 어떻게 번질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한재진 / 현대경제연구원 중국경제팀장 : 가공류 식품이나 화장품 분야에서 피해가 계속 나오고 있고 전기·전자 등 우리 입장에서 주력 산업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서 우려됩니다.]<br /><br />재계 전반으로 우려가 확산하는 가운데 이제는 우리 정부가 사드 배치의 정당성만 외칠 게 아니라 치졸한 중국의 행태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신윤정[yjshin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30218551982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