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내일이면 제98주년 삼일절입니다.<br /><br />중국 상하이에 세워졌던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일본의 탄압을 피해 옮겨간 뒤로, 현지에 남은 한인들의 독립운동 활동 기록은 찾을 수가 없었는데요.<br /><br />상하이에 사는 한 애국지사 후손이, 1930년대 한인사회와 독립운동 기록이 담긴 귀중한 자료를 기증했습니다.<br /><br />이문석 기자가 소개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새벽 독립운동가 무덤을 찾아 경건한 얼굴로 사진을 찍은 남성.<br /><br />애국지사 배준철의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상하이 임시정부가 옮겨간 뒤 한인사회에서 겪고 느낀 점을 기록한 그의 일기와 사진들이 후손의 손을 거쳐 독립기념관에 전달됐습니다.<br /><br />민족 교육기관 인성학교 교장이던 독립운동가 선우혁의 자상한 얼굴.<br /><br />미래 독립운동가를 키운 지금의 보이스카우트인 한인 소년척후대 활동 등.<br /><br />1930년대 상하이 한인 사회의 모습이 4백여 장 필름과 사진 속에 고스란히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932년 임시정부가 일본의 압력으로 상하이를 떠난 뒤로는 현지에 남은 한인사회 실상과 독립운동 활동을 알 수 있는 자료가 그동안 전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4권의 일기는 거의 하루도 빠짐없이 기록돼 상하이 독립운동 행적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라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[김주용 /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: 상하이에서는 한국 독립운동 세력이 남아 있었고, 특히 제2세대들은 조선의용대나 한국광복군으로 편입돼서 독립운동을 지속해서 전개했다는 사실을 이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.]<br /><br />윤봉길 의거 뒤에 안창호 선생에게 피신하라는 말을 전하러 갔던 배 애국지사.<br /><br />1935년 3월 1일 일기에, 한국의 아들딸은 누구든지 이날을 거룩하게 해야 한다며 뛰는 마음이 가라앉지 않는다고 적었습니다.<br /><br />98주년 삼일절을 앞두고 배 애국지사가 일기와 사진을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 싶었던 말이기도 할 것입니다.<br /><br />YTN 이문석[mslee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22800451458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