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북한이 공개한 북극성 2형의 발사장면을 보면 몇 가지 새로운 점이 눈에 띕니다.<br /><br />먼저, 바퀴형 이동식 발사대가 아닌 전차 궤도형 발사대가 보이고,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, SLBM의 발사 방식을 적용했습니다.<br /><br />북극성 2형은 어떤 무기체계인 지 강정규 기자가 설명해 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북한이 공개한 북극성 2형의 발사장면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궤도형 이동식 발사대입니다.<br /><br />차량에 바퀴가 아닌 궤도가 달려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극악한 지상 환경 속에서 시험발사 했다고 주장한 점도 이 궤도 차량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바퀴형 이동식 발사대가 갈 수 없는 다리 밑이나 숲 속 등에 숨어 발사할 경우 사전 탐지가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.<br /><br />[신종우 / 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 : 궤도형 차량은 험지 기동이 가능해서 / 이 미사일의 작전 운용 범위는 상당히 넓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북극성 2형이란 명칭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, SLBM에서 따온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지난 2015년 발사한 SLBM을 북극성 1호로 명명했습니다.<br /><br />[조선중앙TV : 민족의 존엄과 나라의 자주권을 믿음직하게 수호하는 전략적 타격 수단 개발의 새로운 높은 단계를 열어주시어….]<br /><br />물속에 숨어 기습 공격이 가능한 SLBM의 특징을 지상으로 옮겨 놨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또, SLBM처럼 고체 연료를 사용해 장시간 안정적인 작전이 가능하도록 했고, 중국의 대륙간탄도미사일, 둥펑과 비슷한 발사관도 처음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중국, 러시아 등의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도 주로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점을 감안할 때 북극성 2형 역시 고체 연료 기반의 이동식 ICBM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따라서 기존 무수단급이 아닌 전혀 새로운 미사일로 분류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21311490590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