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 때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여겨졌던 국내 면세점 시장이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으로 포화 상태를 맞으며 위기에 빠졌습니다.<br /><br />이 와중에 사드 사태의 여파로 중국 관광객마저 줄면서 면세점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양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국내 면세점 1호였던 동화면세점이 매출 부진으로 최근 경영권 매각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문을 열었던 한화와 HDC신라, 신세계DF 등 신규 면세점들도 매출이 당초 기대에 훨씬 못 미치는 3천억 원대에 그쳐 큰 폭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황금알을 낳을 것으로 기대됐던 면세점들이 이처럼 경영난을 겪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 때문이란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2015년 6개에 불과했던 서울 시내 면세점을 지난해 9개로 늘린 데 이어 올해 4곳을 더 추가시킬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중국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면세점 시장에 대한 전망을 과도하게 낙관해 단기간에 특허를 너무 많이 발급한 것입니다.<br /><br />면세점 간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단체관광객 매출의 일정 부분을 여행사에 지급하는 '여행사 지급 수수료'도 과거 10% 수준에서 30%대로 뛰어올라 수익성마저 크게 악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와중에 사드 사태까지 터지면서 중국 관광객이 급감해 면세점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포화상태에 이른 면세점 시장을 살리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투자를 가로막고 있는 5년 시한 특허제를 폐지하고 허가제를 통해 시장의 완전 자율 경쟁을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또 면세점들의 전체 매출 가운데 60%를 웃도는 중국 관광객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 위험을 분산시켜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의 근시안적인 정책으로 국내 면세점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른 상황에서 시장 여건마저 불투명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면세점 업계의 어려움은 상당 기간 지속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YTN 이양현입니다.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20409432913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