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금리 인상...내 집 마련 시 대출금 적정 비율은?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5 1 Dailymotion

■ 방송 : YTN 뉴스와이드<br />■ 출연 : 박원갑 /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<br /><br />◇앵커 : 이제 전세 재계약을 앞두고 계신 분들은 고민이 참 많으실 텐데 전세로 계속 살아야 됩니까, 아니면 자신의 집을 대출을 받아서라도 마련을 해야 되는 겁니까?<br /><br />◆인터뷰 : 참 이게 갈등 국면이라고 보면 돼요. 선택을 해야 되는데. 진짜 꼭 입주를 해야 되는 사람이라면 시기에 관계 없이 저는 입주를 하라는 말씀을 드립니다. 구매를 하라는 거죠. 다만 투자를 생각한다면 조금 타이밍을 늦춰도 괜찮지 않을까. 2년 정도는 쉬어가도 된다는 생각이 듭니다.<br /><br />왜냐하면 지금 부동산시장을 크게 바라볼 필요가 있는데 사이클상 보면 작년에 이미 정점을 지났습니다. 지금은 수축기라고 보면 될 것 같고요. 이런 국면은 좀 더 이어질 가능성이 있지 않겠나 이런 생각이 들고요. 다만 전세로 사시더라도 깡통 전세에 대한 부담은 그리고 이에 대한 대비는 하셔야됩니다. <br /><br />전세값이 워낙 높잖아요. 그러면 자칫 깡통전세, 전 재산을 다 잃어버릴 수가 있기 때문에 전세로 살더라도 깡통 전세에 대한 대비책은 나름대로 충분히 마련하시라 이런 말씀을 꼭 드립니다.<br /><br />◇앵커 : 깡통 전세도 문제고 사실 대출을 받아야지 전세도 마련하시는 분들이 대다수일 텐데 그렇다면 전세를 한다고 했을 때 대출 비율은 어느 정도 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을 하십니까? <br /><br />◆인터뷰 : 매매든 전세든 지금은 금리가 오르는 시즌이라고 보면 되잖아요. 이런 경우에는 대출을 적정대출이 저는 중요하다 말씀을 드리는데 30-30을 권해 드려요. 일단은 대출을 내더라도 집값의 30% 정도. 그리고 전세 사는 분도 마찬가지일 수도 있는데 보통 원리금, 원금과 이자를 다달이 갚아야 할 텐데 그게 자기 월급의 30% 정도. 이 정도로 안전하게 가시는 게 낫지 않을까 이렇게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◇앵커 : 지난해 정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살펴보겠습니다. 2017년 경제정책 방향인데요. 전세보증금 반환제도를 활성화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. 이게 역전세난을 막기 위한 정책이라고 하는데 지금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 주세요.<br /><br />◆인터뷰 : 그게 주택도시보증공사, 흔히 허브라고 하죠. 거기에서 보통 아파트나 주택을 전세 들어가는 분들에게 깡통 전세를 막기 위해서 나름대로 보증 보험을 드는 겁니다. 그런데 종전에는 가입 대상이 수도권에서는 4억이었는데 5억으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12918472381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