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흔히들 '4강'이라고 하는 미국과 중국, 러시아와 일본 4개국 대사는 총리 주재 회의에 이어 외교부에서도 긴급대책 회의를 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국제 정세에 대해 정부 위기감이 크다는 방증인데요, 일단 곧 들어서는 미국의 새 행정부와는 고위급 소통 창구를 트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선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4강 대사와 유엔 주재 대사는 총리 주재 회의에 이어 외교부에서도 고위 간부들과 긴급 모임을 가졌습니다.<br /><br />하루에 두 번씩 회의를 개최하면서 최근 한반도 주변의 외교 갈등이 녹록치 않음을 보여준 겁니다.<br /><br />이번 모임에서는 특히, 사드 문제로 중국의 경제 보복이 현실화한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 기조를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중국의 압박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정부의 입장은 단호합니다.<br /><br />[김관진 /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(지난 8일) :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전에 해당 관계 기관을 만나서 필요한 공조 조치, 협의 조치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는 생각을 해서 방미하게 됐습니다.]<br /><br />다행스러운 건 한일 간 갈등이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항의의 표시로 불려 갔던 주한 일본 대사가 이번 주 귀국하면 소녀상 갈등이 봉합 수순을 밟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한반도 주변을 둘러싼 외교안보 현황은 여전히 불투명합니다.<br /><br />북한을 선제공격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히는 등 과거 기조와 다를 것이 확실시되는 미국의 새 대북정책도 이번 회의에서 집중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갈등이 일고 있는 미중 관계는 한반도 불확실성을 더 고조시킬 것이란 우려가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정부는 미국 차기 정부의 주요 인사들과 고위급 정책 협의를 갖는 등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선아[leesa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11619055570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