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일본이 부산 일본영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설치를 문제 삼아 한일 통화스와프 협상을 전격 중단했습니다.<br /><br />한·중, 한·미 통화스와프도 재개나 연장이 불투명해, 우리나라의 대외 금융 안전판이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임승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그동안 일본은 위안부 소녀상에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해 왔습니다.<br /><br />주한일본대사관이어 지난 연말 부산 일본총영사관 앞에 소녀상이 세워지자, 1주일 만에 강력한 조치를 내놨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한·일 통화스와프 협상을 중단한다고 기획재정부에 전격 통보했습니다.<br /><br />통화스와프는 외환 위기 같은 비상 상황에 대비해 두 나라가 서로 통화를 맞교환하는 약속입니다.<br /><br />하나의 금융 안전판입니다.<br /><br />일본과의 통화스와프는 지난 2001년 20억 달러 규모로 처음 체결돼 한때 700억 달러까지 불어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난 2012년 이명박 당시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일본의 반발이 격해지면서 2015년 종료됐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지난해 8월 협상이 재개됐지만, 일본이 소녀상을 빌미로 협상 중단을 전격 선언한 겁니다.<br /><br />기획재정부는 유감을 표명하면서 정치·외교적 사안과 무관하게 한·일 경제·금융 협력은 지속돼야 한다는 짤막한 입장만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외환 보유액도 3천억 달러가 넘는다는 점을 내세우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한·일 통화스와프만이 아니라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사드 배치에 반발하고 있는 중국이 오는 10월 끝나는 한·중 통화스와프를 연장할지 장담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0년 종료된 한·미 통화스와프 역시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협상 재개가 더욱 불투명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국정 공백과 컨트롤 타워 부재가 금융 완충판까지 붕괴 위기로 몰아 넣으면서 한국 경제의 대외 리스크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임승환[shl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10715010018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