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최순실 씨 국정농단 사태 등으로 경제정책도 제대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는 와중에 물가부담은 오히려 가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질소득은 계속 줄고 있는데 물가는 이곳저곳에서 온통 오른다는 소식만 들려와 서민들의 삶은 갈수록 팍팍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성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1년 전보다 1.3%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식품, 통신, 교육비 등 481개 품목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만 소폭 상승입니다.<br /><br />서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물가 수준은 확연하게 높습니다.<br /><br />[류지명 / 서울시 성동구 마장동 : 마트에 가서 콜라를 사려고 가격을 보면, 가격이 너무 비싸더라고요. 그래서 조금 주저하게 되고….]<br /><br />최근 코카콜라는 5%, OB맥주는 6% 가격을 인상한 가운데 로레알은 화장품값을 6% 올리는 등 소비재 가격 인상이 줄을 잇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생활물가 상승은 통계청 조사에서도 확인돼,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 물가는 두 달 연속 5%대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나타났던 자동차보험료 잇단 인상은 올해에도 되풀이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흥국화재가 평균 1.9% 인상 계획이며 악사손해보험은 업무용 차량 평균 4.7%, 삼성화재는 개인용 기본담보 보험료를 3% 더 부과했습니다.<br /><br />[이진성 /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: (자동차 보험료가) 앞으로도 오른다는 얘기가 있거든요, 솔직히 필수여서 안 낼 수도 없고, 서민 입장에서, 많이 힘들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국제금리가 급등하는 현상에 국내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동조하면서 상환부담도 가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최미소 /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: 주택담보대출이 5%대까지 올랐다는 것은 되게 많이 오른 것이잖아요. 담보대출이 계속 오르고 있는 것은 좋은 현상이 아닌 것 같고….]<br /><br />가계의 실질소득이 3분기부터 다시 줄고 있는 가운데 생활물가가 상승하는 것은 더 큰 문제입니다.<br /><br />소비자들은 쌀과 고기는 물론 커피도 덜 마시고 옷도 덜 사는 등 허리띠 졸라매기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어 내수 타격이 깊어질 우려가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박성호[sh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112405004900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