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벼도 사료로 사용 가능'...인식 전환 필요 / YTN (Yes! Top News)

2017-11-15 2 Dailymotion

[앵커]<br />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각종 기능성, 가공용 쌀 품종이 개발되고 있지만 좀처럼 재배면적이 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생산자와 가공업자를 연결해주는 정책적 노력과 함께 벼도 사료로 이용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송태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찹쌀처럼 짙은 하얀색이지만 찰기가 없는 멥쌀입니다.<br /><br />'설갱'이라는 양조용 쌀로 지금까지 개발된 가공용 쌀 가운데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백만기 / 농촌진흥청 농업연구사 : 내부로 균 같은 것이 침투가 잘 되기 때문에 발효라든가 이런 쪽에 상당히 좋은 성과를 가져오는 그런 벼 품종입니다.]<br /><br />항산화제인 안토시아닌이 많은 흑미도 수용성과 지용성 색소를 가진 품종이 별도로 개발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밖에 쌀국수과 쌀빵, 쌀피자를 만들 수 있는 가공용 쌀 10종을 포함해 특수용도로 개발된 벼 품종은 모두 87개나 됩니다.<br /><br />쌀 수확량은 적지만 줄기가 굵고 키가 커서 사료용으로 적합한 벼입니다. 일본에서는 이미 이런 벼가 축산에 이용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아직 가격이 비싸고, 쌀을 사료로 쓴다는 거부감이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기능성, 가공용 벼가 전체 재배면적의 약 5.6% 수준을 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.<br /><br />[김보경 / 농촌진흥청 작물육종과장 : 생산자하고 가공업체 사이에 신뢰를 구축해서 원료곡을 안정적으로 생산해주고 업체는 원료곡을 가지고 가공제품을 만들어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체계를 거쳐야 하는데 아직도 체계가 미흡합니다.]<br /><br />특히 가공용 쌀 소비가 가장 많은 막걸리 등 전통주 제조에 국산 쌀이 사용될 수 있도록 전통주의 고급화에도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YTN 송태엽[tayso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1009000854302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