잇단 지진으로 사회 기반시설과 대형 토목 구조물의 안전이 비상인데요,<br /><br />지진 진동과 이로 인한 구조물 기울기 등 위험 요인을 미리 알아내 피해를 줄이는 데 광섬유 센서가 한몫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남도의 항구에서 잠수부까지 동원된 작업이 한창입니다.<br /><br />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부두 기둥의 변형 등을 미리 알아내기 위한 겁니다.<br /><br />[이흥수 / 안전진단 업체 기술연구소장 : 발생하자마자 바로 어떤 보수 재료를 가지고 가서 보수에 대응함으로써 시민의 안전과 구조물의 안전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구조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은 광섬유 센서, 유리 성분이어서 소금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가 없어도 기능을 발휘합니다.<br /><br />광센서는 터널이 수맥이나 발파 공사 등으로 인한 외부의 압력이나 충격에 안전한지를 감지하는 데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광섬유 센서는 우리나라에서는 제2진도대교에, 세계적으로는 남극 탐사 쇄빙선 아라온호에 처음으로 설치됐습니다.<br /><br />광센서는 원자력발전소와 댐, 지하철 등 갖가지 사회 기반시설과 대형 토목 구조물 안전성 감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설비로 자리 잡았습니다.<br /><br />전기식 센서는 지진 진동만 감지하는 데 비해 광센서는 진동으로 인한 구조물의 기울기와 가속도, 압력, 변형률까지 한꺼번에 알려줍니다.<br /><br />[이금석 / 광센서 업체 대표 : 비용이 30% 정도 절감이 되고요, 또 하나 기존의 전기식 지진계는 다른 센서를 연결하려면 추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됐습니다. 그러나 저희 같은 경우는 같은 시스템에 변형률이나 각도나 기타 센서를 연결할 수가 있습니다.]<br /><br />무엇보다 광센서는 실시간으로 위험도 자료를 보내주기 때문에 사전 대응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.<br /><br />광기술원 등 광산업 집적화 단지가 조성돼 광산업 엑스포도 개최한 광주,<br /><br />광섬유 원천 기술을 활용한 갖가지 센서는 미국과 독일, 콜롬비아 등 외국 시장으로도 수출길을 넓혀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범환[kimb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112518303934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