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안보리가 뉴욕 유엔본부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북한의 ICBM급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유엔 대사는 오늘 회의에서 모든 유엔 회원국들이 북한과 외교와 무역 등 모든 관계를 단절하라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뉴욕 연결합니다. 김영수 특파원!<br /><br />미국 유엔대사가 예상대로 매우 강력한 추가 제재를 촉구했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네 그렇습니다.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는 오전 7시 15쯤부터 시작됐는데 매우 엄중한 분위기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11월 의장국인 이탈리아의 세바스티아노 카르디 대사가 회의를 주재하면서 북한의 과거 도발과 안보리 결의을 열거하며 강력히 규탄했고요<br /><br />이어서 니키 헤일리 미국 유엔대사가 매우 강력한 발언들을 쏟아냈습니다.<br /><br />헤일리 대사는 먼저 북한이 결국 평화가 아니라 도발을 선택했다며 안보리가 이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최근 20개 유엔 회원국들이 북한과 외교적인 단절을 하고 있고 싱가폴 등 일부 국가들은 무역도 단절했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모든 회원국이 이제 북한과 외교와 무역 관계를 단절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중국에 대북 원유 공급 중단을 촉구했는데요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이, 직접 시진핑 주석에 북한에 대한 원유 공급 중단을 요구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과거 2003년 중국이 원유 공급을 중단했을 때 북한이 대화의 테이블에 나왔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헤일리 대사는 또 북한이 어제 발사한 ICBM급 미사일이 미국 전역에 도달 수 있다며 만약 북한과 전쟁을 한다면 북한 정권은 완전히 파괴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회의는 공개로 진행되고 있는데요<br /><br />잠시 뒤 중국과 러시아가 발언을 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는 이번에도 제재보다는 대화가 먼저라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중국 대사는 지난 9월에도 북한의 핵실험을 강력히 규탄하면서도, 한반도 전쟁은 반대한다며 당사국들의 자제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도 당사국들이 모두 협상 테이블로 복귀하라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결국 지난 9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는 미국이 강력히 요구했던 원유 봉쇄 조치는 빠졌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앞으로 추가 대북 제재를 놓고 미국과 중국, 러시아 간 치열한 줄다리기가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유엔 관계자는 오늘 회의는 15개 안보리 이사국의 입장을 듣는 자리라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71130080303285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