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북한과 조건 없이 대화할 수 있다는 발언을 내놓은 것을 계기로 북핵 국면 전환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핵 문제가 대화 국면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는 평가도 커지고 있지만, 북한이 핵 보유국 지위를 고집하는 한 근본적인 구도는 달라지지 않았다는 신중론도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와 함께 틸러슨 장관의 발언을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틸러슨 장관의 발언 주요내용 정리해 볼까요?<br /><br />[기자] <br />오늘 틸러슨 장관 많은 말을 했습니다. <br /><br />전제조건 없이 북한과 첫 만남을 하겠다 이런 말이 가장 중요하고요. <br /><br />중요한 점이 대화할 준비가 된다면 미국은 언제든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 그냥 만날 수 있고 또 날씨 이야기나 테이블이 어떻게 생겼는가 이런 것까지도 얘기할 수 있다.<br /><br />또 북한이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해야만 대화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현실적이 아니다. <br /><br />그리고 첫 폭탄이 떨어질 때까지 외교적인 노력을 계속할 것이다 이런 내용들을 말했는데 아주 기존에 듣지 못한 중요한 말들을 많이 했습니다. <br /><br /><br />틸러슨 장관이 북한에 일단 조건 없는 대화를 제안한 것인데 기존 입장에서는 많이 변화한 것으로 볼 수 있겠죠? <br /><br />[기자] <br />쉽게 말해서 조건 수위가 낮아진 것은 분명하고 전형적 발언이라고 평가는 할 수 있는데 그런데 문제는 전제조건이 없다고 말하고는 있지만 진정한 대화를 위한 조건은 여전히 제시를 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뭐냐 하면 대화를 무조건적으로 전제조건 없이 하는 건 좋은데 북한은 다른 선택을 하기 원한다는 관점을 갖고 대화 테이블에 나와야 할 것이다 이런 말도 했습니다. <br /><br />그리고 대화 도중에 핵실험이나 추가 도발을 한다면 대화는 어려워질 수 있다, 대화를 하려면 일정 기간 도발과 관련해서 휴지기가 있어야 한다, 이런 말도 또 했습니다. <br /><br />이렇기 때문에 그야말로 크게 변한 것은 아니고 한 클립 정도 이동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렇게 보는 게 가장 적절할 것 같습니다. <br /><br />사실 지난 9월에 렉스 틸러슨 장관은 이미 북한이 도발하지 않는다면 대화할 수 있다 이렇게 말한 적이 있습니다. <br /><br />그래서 비핵화 의지 표명이 중요한 전제조건이었는데 이것을 지난 9월에 이미 전제조건에서 삭제한 바 있습니다. <br /><br /> <br />전체 대북 제재안에서 대북 대책에 대해서 얼마나 움직이는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21311432660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