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해 경찰과 보건당국이 조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은 사건 이후 처음 병원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했는데, 정확한 사인 규명에는 최소 한 달 정도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최재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숨진 신생아 4명 가운데 3명에게서 모두 시트로박터 프룬디 균이 검출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균이 직접적인 사인이라고 단정 짓기에는 이릅니다.<br /><br />숨진 신생아 1명은 시트로박터 프룬디 균이 검출되지 않았고 같은 수액을 맞고 멀쩡한 신생아도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또한, 수액을 맞은 지 하루 뒤에 이상 증세가 나타났다는 점도 규명해야 할 숙제입니다.<br /><br />육안 관찰소견만으로 숨진 신생아의 사망원인을 특정할 수 없다는 소견을 밝힌 국과수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사망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양경무 / 서울과학수사연구소 법의조사과장 : 감염과 관련된 것도 하고 의무기록 관련된 것, 투약 관련된 것, 병원 내 처치 관련된 것, 아이 원래 어떤 질병 있었는지 (분석해야 합니다.)]<br /><br />질병관리본부는 세균과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있고,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채취한 환경 검체와 조제 약품 분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도 이대목동병원에 대한 압수수색과 함께 참고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수간호사와 약사를 불러 약품 조제과정과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 시스템을 캐물었습니다.<br /><br />결국, 경찰과 보건당국의 조사가 마무리돼야 정확한 사인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조사 기간은 최소 한 달은 소요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번 사고는 국내 최상급 의료기관인 대학병원에서 일어났다는 점에서 신생아 부모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확한 원인 규명은 물론 대학병원의 의료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점검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최재민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122218235632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