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중대 흠결이 있다면서 후속 조치 마련을 지시한 만큼 한일 관계는 당분간 냉각 국면을 피하지 못하게 됐습니다.<br /><br />합의 파기 선언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피해자 중심 주의와 국민과 함께 하는 외교 원칙이 주요 지침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문재인 대통령이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중대 흠결이 있다면서 후속 조치 마련을 지시하면서 두 가지 지침을 제시했습니다.<br /><br />'피해자 중심주의'와 국민과 함께 하는 외교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정부의 후속 조치 마련 노력은 우선적으로 피해자 의견 청취를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관측됩니다.<br /><br />[노규덕 / 외교부 대변인 : 피해자 모두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진정성 있고 실질적인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.]<br /><br />문 대통령은 또 피해자 중심 주의와 함께 한일 관계도 고려한다는 지침도 강조한 만큼 외교 전략 수립도 동시에 진행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학계와 전문가 자문을 얻어 후속조치 방향을 잡은 뒤 국내 조치와 일본 정부와의 외교 교섭을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: 피해자, 관련 단체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겸허히 수렴해 나가고자 합니다. 아울러, 한일 관계에 미칠 영향도 감안하면서 위안부 합의에 대한 정부 입장을 신중히 수립해 나가고자 합니다.]<br /><br />후속 조치로는 합의 파기나 재협상까지도 고려하겠지만, 우선적으로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이른바 감성적 조치를 일본에 요구하는 시나리오를 검토할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일본이 감성적 조치에 협조하면, 기존 합의 유지로 방향을 잡으면서, 위안부 문제 해결과 한일관계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이게 됩니다.<br /><br />협조하지 않을 경우에는 합의 파기 명분과 정당성이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재협상을 추진하는 시나리오, 또는 감성적 조치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시나리오가 가능합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일본 정부 처지에서는 어떤 시나리오든 한국이 약속을 어기는 행위로 판단할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에 한일관계는 다시 한 번 냉각국면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22822015940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