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최진봉 / 성공회대 교수, 이종근 / 데일리안 논설실장<br /><br /> <br />북한이 우리가 제안한 고위급 회담을 수락했습니다. 남북이 판문점 연락채널 복원 이틀째인 어제까지 구체적인 논의 결과를 내지 못했었는데요.<br /><br />오늘 북한이 고위급 회담 수락을 하면서 오는 9일 판문점 고위급 회담은 이제 열리게 됐습니다. 자세한 이야기 이종근 데일리안 논설실장,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두 분 어서 오십시오.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<br /> <br />9일 남북 고위급 회담 제안한 지 지금 사흘 만에 수락을 했거든요. 남북 대화의 진척 움직임이 예상보다 굉장히 빠릅니다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아무래도 김정은이 신년사에서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표명했지 않습니까? 그렇다고 하면 북한의 입장에서는 김정은이 일단 얘기한 이상 그걸 미루거나 아니면 그걸 다른 방법으로 바꿀 가능성은 없다고 봐요.<br /><br />김정은의 강력한 의지가 결국 북한 체제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을 텐데 그런 차원에서 본다고 하면 우리가 요구했던 남북 고위급 회담 자체도 김정은이 또는 북한이 그렇게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보여지고요.<br /><br />또 사실은 물론 평창올림픽 참가라고 하는 것이 가장 주요한 이슈가 되지만 북한 입장에서도 우리와 관계를 개선해서 국제 압박과 제재로부터 일정 부분 벗어나려고 하는 시도를 하고 있는 거 아니겠습니까?<br /><br />그런 차원에서 본다고 하면 남북 간 대화가 어찌 보면 북한의 입장에서 더 긴급하게 필요한 사항이었다라고 보는 것이 더 맞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 <br />오늘 보면 전통문 명의가 리선권 조평통 위원장이고요. 수신자가 조명균 통일부 장관입니다. 이렇게 되면 회담에 참석하는 대표들의 윤곽이 좀 드러난 것 아니냐 이런 전망들이 나오고 있는데 두 사람의 성향에 대해서 분석한 기사들이 굉장히 많더라고요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죠.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조평통 위원장은, 사실 리선권 조평통 위원장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우리 언론에서는 너무 욱 하는 성격이 있다, 지난번에 고위급 회담에서 사실 수행하는 입장으로 몇 번 온 적도 있고 또... <br /><br /> <br />굉장히 직선적으로 얘기한다, 이런 얘기도 있어요.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가장 최근이 목함지뢰 사건 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도 보여준 일련의 행동들, 이런 것들 때문에 사실 굉장히 강성 아니냐, 이런 우려 섞인 그런 전망을 하고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10512094656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