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북한의 계속되는 핵 개발로 전쟁 위기까지 치닫던 남북 관계가 새해 들어 반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불과 1주일 만에 지난 2년 동안 끊겼던 남북 통신망이 복구되고 남북 고위급 회담이 성사됐는데요.<br /><br />숨 가쁘게 돌아갔던 새해 첫 주를 강정규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변화는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에서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먼저 대화를 언급한 겁니다.<br /><br />[김정은 / 북한 노동당 위원장 : 우리는 대표단 파견을 포함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으며 이를 위해 북남 당국이 시급히 만날 수도 있을 것입니다.]<br /><br />우리 정부는 이튿날 곧바로 남북 고위급 회담을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[조명균 / 통일부 장관 : 동계올림픽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점을 감안하여 1월 9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고위급 남북 당국회담을 개최할 것을 북측에 제의합니다.]<br /><br />다시 하루 뒤 북한은 판문점 통신망 재가동을 선언하고 먼저 연락해왔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6년 2월 개성공단 폐쇄와 함께 모두 끊겼던 남북 간 통신선이 23개월 만에 복원됐습니다.<br /><br />[리선권 / 북한 조국평화통일 위원장 : 회담 개최와 관련한 문제들을 남측과 제때에 연계하도록 3일 15시부터 북남 사이에 판문점 연락 통로를 개통할 데 대한 지시도 주셨습니다.]<br /><br />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최대 압박을 지속한다는 미국의 견제 속에 남북 대화는 하루 동안 제자리걸음을 걷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화 통화를 통해 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고, 평창 올림픽 기간 한미 군사 훈련 연기에도 합의하면서 남북 회담은 마침내 성사됐습니다.<br /><br />[백태현 / 통일부 대변인 : 북측에서 전통문이 왔습니다. 우리가 제의한 1월 9일 판문점 평화의집 회담 제안을 수락했고요.]<br /><br />남북은 2년 만에 열리는 고위급 회담을 준비하기 위해 주말과 휴일에도 접촉을 이어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10608502845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