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기오염과 부족한 수자원, 높은 가계부채 등이 한국의 '미래 생활의 질'을 위협하는 요소로 꼽혔습니다.<br /><br />가계부채는 가처분 소득 대비 170% 수준으로, 증가세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 가운데 최고 수준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한영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가 발간한 '삶의 질' 보고서에서 한국의 가구당 순(純)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170%였습니다.<br /><br />이는 OECD 평균인 123%를 훨씬 뛰어넘는 수준으로 주요 선진국인 미국과 일본 보다 높은 수칩니다.<br /><br />독일과 이탈리아, 헝가리, 러시아는 부채비율이 100%를 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의 가계부채는 해가 지날수록 상승세가 빠르다는 점이 더 문제입니다.<br /><br />한국의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8년 143%에서 2015년 170%로 상승했는데 이는 OECD 주요 회원국의 흐름과는 반대입니다.<br /><br />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덴마크와 아일랜드는 물론 OECD 회원국의 평균도 2007년 이후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기오염과 수자원 부족, 정부에 대한 낮은 신뢰도도 한국의 '미래 생활의 질'에 위험이 되는 요소로 꼽혔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의 초미세먼지 평균 노출도는 41개국 중 최악이었고, OECD 평균 보다 2배 정도 나쁜 수준이었습니다.<br /><br />재생 가능한 수자원도 부족해 대부분이 사막인 이스라엘을 제외하고 상황이 가장 좋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한국 국민의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26%로 OECD 평균 38% 보다 낮았고, 브라질, 멕시코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YTN 한영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10806145703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