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연방정부가 의회의 임시예산안 처리 무산 시 부분 업무 정지에 들어가는 '셧다운' 시한이 다가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상원 수장과 긴급회동에 나선 가운데, 최종 관문인 상원 통과를 위해 여야가 막판 합의를 이끌어낼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미 연방정부가 4년 만에 셧다운 위기에 처했습니다.<br /><br />이민 정책 등을 둘러싼 여야 입장차로 본예산안 논의를 위한 시간을 벌기 위해 단기 예산안이 마련됐는데,<br /><br />이마저도 최종 처리 여부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하원에서 가결된 임시예산안이 현지 시각 19일 자정까지 상원을 통과하지 못하면 연방정부는 셧다운에 돌입합니다.<br /><br />민주당이 불법체류청년 추방 유예 정책, 다카 문제를 예산안 처리와 연계시키면서 여야 협상은 막판까지 진통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시한이 임박하자,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민주당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와 긴급회동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[척 슈머 / 상원 원내대표 : (트럼프 대통령과) 중요한 이슈를 모두 논의했습니다. 일부 진전을 이뤘지만 아직은 상당 부분 의견 충돌이 있습니다.]<br /><br />셧다운이 되더라도 공항과 우체국을 비롯해 국가 안보, 소방 등 국민의 안전과 생명에 관한 공무는 유지됩니다.<br /><br />다만 국립공원이나 박물관들이 폐쇄되고 국세청의 세금 업무 등 '불요불급'한 공공서비스들이 중단됩니다.<br /><br />해당 공무원들은 강제로 무급휴가를 떠나야 하는데, 80만여 명이 영향받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미 연방정부는 1976년 이래 열여덟 번의 셧다운을 겪었습니다.<br /><br />여야의 첨예한 대립 속에 임시예산안의 상원 통과가 불발될 경우, 트럼프 대통령은 셧다운 상태에서 취임 1주년을 맞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YTN 조수현[sj1029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12007134968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