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종병원 화재사건 수사를 맡은 수사본부는 화재 원인을 '전기적 요인에 의한 발화'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흔히 쓰는 말로 합선이라는 것인데요.<br /><br />병원 천장에 있던 스티로폼에 불이 옮겨붙으면서 불도 빠르게 번지고 유독 가스를 품은 연기도 많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박종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최초 불이 시작된 곳은 1층 응급실의 안쪽에 있는 이른바 '탕비실'의 천장입니다.<br /><br />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8개 기관이 합동 정밀 감식을 벌여 확인한 결과입니다.<br /><br />합동 감식팀은 천장에 배선된 전선에서 불이 시작됐고 전기적 단락, 그러니까 합선이 화재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불이 타는 과정이 '바닥에서 위로'가 아니라 '위에서 아래'로 타는 양상을 보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고 재 모 /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안전과장 : 전기적 요인에 의한 발화라고 표현하면 좋겠습니다. 왜냐하면 구체적으로 단락이다, 불완전 접촉에 의한 발화다는 것을 다 포함해서 전기적 요인에 의한 발화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.]<br /><br />그러나 합선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탕비실에 있던 멸균기나 전기 포트, 냉장고 등 전기를 쓰는 장비가 원인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정밀 분석이 필요하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화재 초기에 불길이 빨리 번졌고 연기가 많이 났던 이유도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천장의 석고보드와 그 위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전선과 단열재가 들어가 있는데, 여기에 있던 스티로폼에 불이 옮겨붙은 겁니다.<br /><br />스티로폼에 불이 붙어 천장으로 빠르게 불이 번졌고, 유독 가스를 품은 연기도 많이 발생했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[고 재 모 /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법안전과장 : 초기 화재 때에 유독성 가스가 많이 나왔을 것이고 연기도 많이 나왔을 것이고, 연소 확산의 주요인 중의 하나입니다.]<br /><br />수사본부는 전선을 정밀 분석해 이른바 '합선'의 원인을 밝히는 데에는 2주 정도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발화지점을 확인한 수사본부는 일요일에도 건물 전체 소방 설비 점검과 함께 불과 연기의 확산 과정 등에 대해서도 합동 감식을 벌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YTN 박종혁[john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12722004506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