교육 당국이 오는 8월 수능 절대평가를 비롯한 대학 입시 개편안을 발표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 중입니다.<br /><br />시안을 3월 말까지 만들어 국가교육회의에 넘긴다는 계획인데요.<br /><br />서울 등 수도권 주요 대학이 당장은 절대평가를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서술·논술형 수능을 도입하자고 제안해 주목됩니다.<br /><br />김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교육부가 수능 개편과 관련한 여론을 모으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릴레이 포럼 현장,<br /><br />서울 등 수도권 대학 입학처장 협의회가 미래사회 변화에 대비한 대입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우선, 올해 중3이 보는 2022학년도 수능에선 대입 안정성을 위해 절대평가 확대를 최소화하자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새로 추가된 통합사회와 통합과학만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현행 수능을 유지하자는 식입니다.<br /><br />또, 모든 영역을 절대 평가로 전환한다면 변별력 확보를 위한 전형이 필요하다면서 장기적으로는 논술 서술형 수능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[김 현 / 경희대 입학처장 (서울·경인 입학처장협의회 회장) : 출제 같은 경우에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하게 될 거고요. 채점 같은 경우는 객관식 문제는 국가에서 채점하면 되지만 주관식 문제 같은 경우에 서술형 논술형 같은 경우는 지원한 대학에서….]<br /><br />하지만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대학의 입장은 사뭇 다릅니다.<br /><br />또, 이에 대비해 학교 교육과정이 먼저 바뀌지 않으면 사교육 시장만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[구본창 /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국장 : 학교에서 논·서술형 문제에 대한 교육과정이 내실화 있게 운영되지 않는 상황에서 공동 논술이라든지 혹은 논술형 수능이 도입된다면 논술 사교육 시장만 팽창시키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거든요.]<br /><br />교육부는 수능 개편 시안을 이르면 오는 3월 말 공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[송근현 / 교육부 대입정책과장 : 3월 말까지 시안을 마련할 계획에 있습니다. 시안이 마련되면 국가교육회의에 넘겨서 국가교육회의에서 공론화와 충분한 숙의 과정을 거쳐 올 8월 최종안을 결정할 계획입니다.]<br /><br />지난해 8월, 많은 논란 속에 결정을 1년 미뤘던 수능 개편안, 올해는 다양한 논의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YTN 김지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12805220704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