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 정부가 '65세 이상'을 노인으로 보던 기존의 틀을 탈피하겠다고 선언하고, 정년퇴직 연령인 60세 이후에도 현역으로 일하는 사람을 늘리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'나이 없는 사회'를 만들어 일하는 노인을 늘리려는 일본 정부가 사회안전망을 확충하지 않는다면 오히려 노인 빈곤문제를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박철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일본의 전체 인구 중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4분의 1을 넘습니다.<br /><br />세계에서도 몇 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로 일본의 고령화는 빠른 속도로 이어져 왔습니다.<br /><br />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6년 15.1%에서 올해 1월에는 27.8%로 급격히 늘었습니다.<br /><br />15살에서 64살까지의 생산가능 인구 역시 1995년 8천700만 명이었던 것이 20년 뒤인 2015년, 천만 명가량 줄어들었고, 그 사이 65세 이상 인구는 갑절인 3천500만 명으로 늘어났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는 지난 16일 열린 각료회의에서 5년에 한 번씩 고령화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'고령사회대책' 개정안을 확정했습니다.<br /><br />개정안에는 "65세 이상을 일률적으로 '고령자'로 보는 일반적인 경향은 현실적이지 않다"는 내용을 새로 넣었습니다.<br /><br />고령화 시대에 맞춰 정부가 나서서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보던 오랜 사회적 인식을 깨고 나선 것입니다.<br /><br />고령사회대책 개정안은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통상 60세인 정년퇴직 후에도 일하는 사람들을 늘리는 데 역점을 뒀습니다.<br /><br />공적연금 수급 연령의 연기 가능 시점을 '70세까지'에서 그 이후까지 미룰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염두에 두고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통해 지난해 기준 63.6%였던 60~64세 취업자 비율을 2020년까지 67%로 올릴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아베 신조 총리는 이와 관련해 "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희망에 따라 활약할 수 있는 '나이 없는 사회'를 지향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노인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가 확보되지 않은 채 '일하는 노인'을 당연시해 사회 안전망을 갖추지 않는다면 빈곤에 허덕이는 노인들을 더 심한 고통으로 내몰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박철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21900424663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