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중재' 나선 정부...북미, 3월엔 마주앉을까 / YTN

2018-02-28 0 Dailymotion

■ 조한범 /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, 김병민 / 경희대학교 객원교수<br /><br /><br />오늘은 대화의 조건이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남북미 3국의 입장과 전략을 분석해 보겠습니다.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그리고 김병민 경희대학교 객원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두 분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<br />제가 잠시 얘기를 했는데요.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대화의 조건. 아직 구체적으로 무엇이다라고는 얘기는 하지 않았지만 오늘 미 국무부는 비핵화 의지 표명이다라고 이야기를 했습니다. 구체적으로 어떤 걸 의미하는 건가요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그러니까 미국도 그동안 대화의 문턱을 사실 많이 낮췄습니다. 왜냐하면 처음에는 비핵화 조치를 취해야만, 그러니까 행동으로 신뢰를 보여줘야만. 왜냐하면 그전에는 대화하는 과정에서 물밑으로는 핵개발을 했기 때문에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, 믿을 수 있는.<br /><br />그래야 대화하겠다는 게 과거 입장이었다고 하면 최근에는 명백한 비핵화 의지를 보여줘야만 대화하겠다로 바뀌었어요. 그랬다가 다시 또 최근에는 일단은 대화해 보겠다. 탐색대화죠, 예비대화죠.<br /><br />그러나 물론 그건 비핵화가 궁극적으로 이뤄져야만 대화를 하고 회담을 하겠다라는 걸 전달하기 위해서라는 전제를 달았지만 일단은 만나보겠다는 걸로 변화했거든요. 그런데 그 전제조건이라고 하는 것을 명시한 거죠. 그것은 뭐냐하면 비핵화의 의지를 보여야 된다라는 겁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물론 이게 과거와는 미묘한 차이가 있죠. 만나는 보겠지만 그러나 무작정 만나는 건 아니고 비핵화로 가는 일정한 형식은 갖춰주어야 한다는 게 미국의 입장이거든요.<br /><br />그렇기 때문에 그 부분을 말한 거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말씀하셨지만 숨고르기에 들어간 측면도 있지만 큰 틀에서 보면 북미 간은 이미 대화 국면으로 전환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왜냐하면 미국은 상당 부분 대화의 문턱을 낮춘 상태고 북한 김영철 그러니까 김여정의 방남보다 사실 우리가 김여정의 방남이 선정적이죠, 김일성의 직계기 때문에. 직계기 때문에. 그러나 김여정은 상징성 이외에는 큰 의미는 없다.<br /><br />그리고 그 당시에 김여정이 왔을 때 문재인 대통령께서 많은 대화, 김정은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전달했거든요. 그 이후에 김영철이 대남 관계, 대미 관계를 사실은 주도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볼 수 있는데, 큰 틀에서 보면.<br /><br />물론 대남 라인이기는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22816212579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