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의 새 안보 수장으로 지명된 초강경파 존 볼턴 전 유엔 대사가 '북한의 대화 요청이 시간 벌기 수단'이 될 수 있다고 경계했습니다.<br /><br />대북 강경 입장을 다시 확인한 셈인데, 그의 이런 강경한 태도에 대해 미국 내에서의 평가는 극과 극으로 엇갈립니다.<br /><br />LA 김기봉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"북한이 협상을 천천히 끌어가는 시도를 하며 미국을 때릴 수 있는 핵 탄도미사일을 준비하는 것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."<br /><br />존 볼턴 전 대사가 안보보좌관 지명 이후 언론에 처음 밝힌 대북 관련 입장입니다.<br /><br />"북핵을 막는 유일한 길은 북한 정권을 끝내는 것"뿐이라던 과거 발언보다 정도는 약하지만 궤를 같이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말만으로도 북한의 숨통을 조여온 그가 안보 수장의 실권을 쥐면 북미 관계가 극한의 대립으로 회귀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[마이클 멀린 / 前 美 합참의장 :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 심지어 선제 전쟁을 운운하는 볼턴의 말을 그대로 믿는다면 우려가 됩니다. 우리가 그들을 '악의 축'으로 규정하던 과거로 돌아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.]<br /><br />하지만 이른바 '힘을 통한 평화'론을 주장하는 반대의 해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일촉즉발의 위기를 불사하는 강경 입장이 북한은 물론 중국 등 주변국들을 실제로 움직이게 해 그나마 대화 국면을 만들어냈다는 판단입니다.<br /><br />[스티븐 해들리 / 前 美 국가안보보좌관 : 그런 강경 발언이 중국으로 하여금 '이대로는 안 되겠다'는 판단을 하게 해 북한 제재에 동참하게 했고요, 북한 지도부도 움직인 거라고 봅니다.]<br /><br />존 볼턴은 보좌관 지명 이후 인터뷰에서 그동안 개인적으로 했던 말은 다 지나간 것이며, 대통령에게 폭넓은 옵션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해,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열린 자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그가 앞으로도 강경 발언은 유지하되 행동에는 신중한 전략을 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LA에서 YTN 김기봉[kgb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32605354403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