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명박·박근혜 정권 당시 문화예술계 인사들에 대해 이뤄진 검열과 지원 배제, 이른바 '블랙리스트'의 전모가 밝혀졌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와 문체부, 국정원 간 긴밀한 협조 체계를 통해 블랙리스트가 조직적으로 실행되면서 9천 명에 육박하는 예술인들이 피해를 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윤현숙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진상조사위원회가 파악한 블랙리스트 피해 문화예술인은 8천9백 명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사찰이나 검열을 받거나 각종 지원사업에서 배제되는 피해를 본 단체도 342곳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이명박 정부 규탄 시국선언, 용산참사 해결 시국선언 참가자 등 정부에 비판적 문화계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이명박 정부 초기에는 국가정보원의 성향 검증에 기초해 유명 연예인이나 일부 단체를 대상으로 했지만,<br /><br />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문화예술계 전 분야에서 블랙리스트가 조직적으로 실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[김준현 /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원회 : 이명박 정부 기조를 확장하여 문화예술계 전방위적으로 블랙리스트 실행하였던 점, 국정원과 문체부의 긴밀한 협조 체계를 구축하였던 점 등이 특징입니다.]<br /><br />공연예술계와 문학출판계에서는 좌파 성향으로 분류된 연출가와 작가를 각종 공모·지원 사업에서 배제했고,<br /><br />영화계에서도 모태펀드 개입을 통해 외압을 실행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7월 공식 출범한 진상조사위는 10개월간 문화예술인들을 상대로 '블랙리스트'의 전모를 밝히는 조사를 벌여왔습니다.<br /><br />[오성화 / 서울프린지네트워크 대표·'블랙리스트' 피해자 : 진상조사를 통해서 명예회복을 비롯해서 우리의 활동이 잘못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느끼게 되었어요. 민간 조사위원들이었고, 현장을 너무 잘 이해하는 현장예술가들이었기 때문에 그만큼의 성과를 내 주셨다고 생각하고....]<br /><br />진상조사위는 블랙리스트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문체부의 예술정책기능을 분리해 독립기관인 '국가예술위원회'를 신설하는 방안과 표현의 자유와 예술가의 권리를 보장하는 법 제도 정비 방안 등을 담은 제도개선 권고안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진상조사위는 앞으로 블랙리스트 실행에 관여한 공무원과 공공기관 임직원에 대한 수사 의뢰와 징계를 정부에 권고하고, 그간의 활동을 정리한 백서 발간작업을 끝으로 활동을 마무리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YTN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6_2018050819254421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