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내용을 놓고 여야 정치권은 온도 차를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여당은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고 평가했지만, 야권은 남북관계와 관련한 문재인 대통령의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성호 기자! <br /> <br />각 당 반응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당은 북·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긍정적인 만남이었다고 평가했지만, 야권은 신중한 반응을 보이면서 동시에 우려를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더불어민주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따른 체제 보장을 천명했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북·미 회담으로 이어지는 긍정적인 신호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추미애 대표는 양국 정상의 돈독한 신뢰와 우의를 바탕으로 솔직하고도 실질적인 대화가 오갔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성공적인 북·미 회담까지 많은 난관이 있을 것이라면서 남북관계가 잠시 주춤하더라도 판문점 선언의 진정성이 폄훼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수 야권을 겨냥해서도 정략적 이해를 뛰어넘어 협조하는 게 국민 요구와 국익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유한국당은 우리 정부가 언제까지 동맹국에 북한을 대변해 북한의 억지 주장을 이해시켜야 하는지 걱정이 앞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장제원 수석대변인은 미·북 회담의 불발을 막으려는 문 대통령의 노력은 평가하고 싶다며 이같이 말했는데요. <br /> <br />북한이 완전한 핵 폐기 의사가 있는지, 북한을 믿고 국제사회에 그들의 입장을 설득하고 보증까지 서야 하는지 냉정하게 돌아봐야 할 때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른미래당 박주선 공동대표는 북한이 소통을 거부하고 판문점 선언 자체를 파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중재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안타깝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승민 공동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핵 문제의 일괄 타결을 언급한 것은 바람직하다면서도 한미 정상이 어떤 합의를 했는지는 지켜보겠다며 말을 아꼈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평화당 최경환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·미 회담 연기 가능성까지 언급한 것은 국제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며 남북이 대화와 협상을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조성호[chos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52311023223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