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정부는 북미정상회담 취소의 표면적 이유로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 등에 대한 북한 당국자들의 비난 발언을 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북측의 강경발언은 주로, 펜스 부통령 등이 이른바 '리비아식 해법'을 계속 거론하는 걸 문제 삼았습니다. <br /> <br />리비아식 해법이 무엇이고 어떤 의미가 있길래, 잘 될 듯하던 회담이 이렇게 된 것일까요? <br /> <br />임장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핵 개발을 추진하던 리비아는 미국의 강력한 제재와 봉쇄로 극심한 경제난을 버틸 수 없게 되자 2003년, 완전한 핵 포기를 이행합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미국에 백기 투항했다는 평가 속에서 경제적 보상이 일부 이뤄지던 중, 2011년 리비아는 혁명에 휩싸입니다. <br /> <br />이때 미국 주도의 나토군이 혁명을 지원하고 나섰고, 카다피 대통령이 처참하게 사망하면서 리비아 독재 정권은 무너집니다. <br /> <br />체제보장을 요구하는 북한으로선 떠올리기 싫은 사례입니다. <br /> <br />[니콜라스 번스 전 美 국무차관 / 하버드 케네디스쿨 교수 : 리비아식 해법은 무아마르 카다피의 죽음, 카다피 정권의 몰락을 말하기 때문에 북한은 당연히 이를 경계할 겁니다.] <br /> <br />그런데 북미정상회담 장소와 날짜가 논의되던 지난달 말, 대북 강경파로 회담에 부정적이던 백악관 존 볼턴 신임 안보보좌관이 '리비아식 해법'을 꺼내 듭니다. <br /> <br />[존 볼턴 / 美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: 북한의 비핵화에 관해서, 우리는 2003년과 2004년 사이에 이뤄졌던 리비아 모델을 많이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회담 추진을 주도하던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리비아식이 아닌 '트럼프식'이 될 거라며 진화에 힘썼지만, 최근엔 펜스 부통령이 '카다피의 최후'까지 연상시키며 북한을 압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크 펜스 / 미국 부통령 : 리비아 모델이 그렇게 끝난 것처럼 김정은도 제대로 협상하지 않는다면, 그렇게 끝날 수밖에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이러자 북측이 펜스 부통령과 볼턴 보좌관을 겨냥한 비난전에 나서면서 회담 취소로까지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선 북한을 믿지 못하고, 대화가 달갑잖은 미국 내 강경파가 북한을 의도적으로 자극한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합니다. <br /> <br />[밥 메넨데즈 / 미 상원 외교위 민주당의원 : 북한과의 대화를 통한 성과를 추구하면서 리비아식 해법을 계속 거론하는 게 외교적으로 옳은 것인지 의문이군요.] <br /> <br />미 정부와 공화당 내 대북 강경파와 협상파의 의견이 아직 조율되지 않았을 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52522015173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