양승태 전 대법원장 시절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과 관련해 후속 조치를 내놔야 하는 숙제를 떠안게 된 김명수 대법원장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 대법원장이 이번 사태에 대한 검찰 수사 필요성을 어느 정도 언급할지가 관전 포인트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2일 최고위 판사들인 대법관들과의 간담회를 끝으로 '사법행정권 남용' 의혹과 관련한 의견 수렴을 모두 마친 김명수 대법원장. <br /> <br />최종 결정만 남긴 채, 장고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평소 취재진 질문에 짧게나마 대답했던 김 대법원장은 결정 시점이 임박해오자 입을 굳게 다문 채 청사로 향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명수 / 대법원장 : (이르면 오늘 입장을 발표하실 거란 얘기도 있는데요?)….] <br /> <br />김 대법원장의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는 의견 수렴 과정에서 법원 안팎의 의견이 엇갈리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법원 내부에선 젊은 판사들을 중심으로 검찰 수사 등을 통한 진상규명 촉구 여론이 일었지만, 고참 판사들이 형사조치를 취하는 건 부적절하다며 제동을 거는 모양새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지난 11일 각급 법원에서 선출된 대표 판사들이 모인 전국법관대표회의에선 성역 없는 진상규명을 촉구하면서도 대법원장의 직접적인 형사 고발엔 반대하는 절충안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외부에선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사법행정권 남용 의혹 관여자들에 대한 대법원장의 직접 고발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높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김 대법원장이 관련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까지 언급할지도 초미의 관심사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발표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는 김 대법원장은 늦어도 다음 주까지 후속 조치를 내놓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어떤 결론을 내리더라도 양분된 법원 내부 갈등을 수습하긴 어려울 거란 전망도 나오면서 김 대법원장의 리더십은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르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[dh022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61422294680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