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 대통령의 한미연합훈련 중단 선언에 대해 미국 고위 관리들은 비핵화 협상에 임하는 북한의 진정성을 가늠하기 위한 선행 조치일 뿐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, 한편으로는 현재 진행 중인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주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한미연합훈련 중단 배경에 대해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을 위한 선의의 차원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동시에 훈련 때마다 들어가는 비용 문제도 한미훈련 중단의 이유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/ 美 대통령(ABC 방송 인터뷰) : 비용이 얼마입니까? 괌에서 비행기를 띄워야 하고 훈련을 위해 빈 산에 폭탄을 투하합니다. 그래서 그 훈련을 중단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. 저는 중단시킬 겁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'괌에서부터 날아온 비행기'는 B-2 스텔스 폭격기 같은 전략자산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괌에서의 출격비용이 60억 원 정도인 것으로 전해지고, 항공모함도 1번 출동하는데 백억 원 안팎의 비용이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밖에 전개되는 자산을 포함하면 한미 연합훈련을 한번 하는데 드는 비용이 700~800억 원 정도로 추정되지만, 동원하는 측의 부담 원칙에 따라 그동안 80% 이상은 미군이 부담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측은 그러나 올해 진행된 방위비 분담금 협상 때 이 전략자산 전개 비용을 부담할 것을 우리 측에 압박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정부는 방위비 분담금은 주한미군 주둔비용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,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훈련 중단과 비용문제를 언급하면서 협상을 진행 중인 우리 정부도 부담을 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북미 관계가 진전되고 훈련 중단이 현실화되면서 분담금 압박도 수그러들겠지만, 한편으론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언급이 훈련비용 문제를 언제든지 거론하겠다는 것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주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61605045062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