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북미, '새로운 관계' 합의 이행 전망은? / YTN

2018-06-17 5 Dailymotion

■ 왕선택 / YTN 통일외교 전문기자 <br /> <br /> <br />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 이후 나흘이 지났습니다. 회담 성과를 둘러싼 논란은 여전한데요. 북한과 미국이 앞으로 어떤 새로운 관계를 열어갈지 궁금합니다. 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와 함께 자세히 분석합니다.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미흡한 합의였다, 아니다. 의미 있는 한걸음이었다. 북미 회담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습니다. 싱가포르 직접 현지 취재도 다녀오셨는데 어떤 분위기가 더 우세하고 어떻게 보는 게 맞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가 볼 때는 이것을 총론하고 각론하고 나눠서 봐야 된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요. 총론에서 보면 아주 굉장히 높이 평가를 하는 게 맞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. 북한과 미국이 적대관계였습니다. 북한 정권 수립이 1948년인데 그때를 기준으로 잡으면 만 70년입니다. 북한이 생기자마자부터 북한과 미국은 적대관계였습니다. 적대관계에서 처음으로, 사상 처음으로 새로운 관계로 전환하자라고 하는 데 있어서 두 최고지도자가 전환에 대해서 약속했기 때문에 이것은 역사적인 쾌거다 이렇게 볼 수 있는데 그런데 각론에서 보면 논란이 가능한 부분이 있습니다. 특히 비핵화라는 차원에서 보면 좀 미흡하다 이렇게 얘기할 수 있는 부분도 있고요. <br /> <br />그런데 또 긍정적으로 보면 이것이 완전한 비핵화라는 문장이 들어가 있다. 그래도 비핵화에 대해서 자꾸 얘기하는 것은 좀 곤란하다 이렇게 얘기할 수가 있어요. 그래서 각론으로 보면, 특히 비핵화로 보면 비판할 수도 있고 또 평가를 할 수도 있는데 제가 볼 때는 총론에서는 기본적으로 높은 평가를 하고 각론에서는 앞으로 비핵화를 어떻게 하는지 지켜 보고 나서 평가를 하는 게 맞다. 그래서 각론 부분에서는 평가를 유보하고 싶다, 저는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많은 분들이 아쉽다고 보시는 부분이 바로 그 비핵화 부분일 텐데 특히나 CVID, 미국이 줄기차게 외쳐왔는데 V 검증 부분이랑 I 바꿀 수 없는 부분이 빠졌습니다. 소위 알맹이가 빠졌다라는 논란도 있거든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로 그 부분인데 그 부분에 대해서 미국 정부, 특히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설명에 따르면 완전한 비핵화라는 말이 들어갔다. 그리고 CVID라고 하는 요소는 그 안에 들어간 거다, 이렇게 설명을 하고 있어요. <br /> <br /> <br />완전한이 검증이랑 불가역적을 다 아우르는 말이다, 이런 의미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영어로 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61618001149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