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대구 수돗물 화학물질 검출...전문가가 말하는 위험성 / YTN

2018-06-22 1 Dailymotion

■ 이덕환 / 서강대 화학과 교수 <br /> <br /> <br />잊을 만하면 불거지는 수질오염 문제,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요. 이번에 대구 지역 수돗물에서 검출된 과불화화합물질은 어떤 것인지 전문가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 연결돼 있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먼저 생소한 물질인데요. 대구 수돗물에서 검출된 과불화화합물, 어떤 건지 간단히 설명해 주시겠습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사실은 그렇게 낯선 물질도 아닙니다. 많은 청취자들께서 아마 테프론이라는 이름을 들어보셨을 겁니다. <br /> <br />프라이팬에 음식이 눌어붙지 않게 해주는 매끈매끈한 물질이죠. 테프론의 발량체에 해당되는 물질들입니다. <br /> <br />탄화수소의 수소 대신 불소라는 원소가 치환돼서 만들어진 물질인데요. 테프론이나 상암동 월드컵 경기장의 지붕 또는 냉장고의 냉매로 사용하는 CFC, 이런 것들이 과불화화합물하고 비슷한 화합물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말씀하신 프라이팬 코팅제로 사용하는 이런 화학물질이 물에서 검출됐다니까 좀 의아한데요. 그런데 이번에 검출된 과불화화합물의 농도가 리터당 100나노그램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정도면 어느 정도의 유해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아마 굉장히 비슷하게 들려서 이게 뭔가 싶을 텐데 굉장히 작은 단위입니다. 아까 보도에서도 ppt라는 단위를 쓰셨죠. <br /> <br />우리가 ppb는 많이 들어봤는데 ppt는 새로운 겁니다. 이건 1조분의 1이라도 하는 뜻이고요. 나노그램이라는 것은 10억 분의 1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가 뭐가 굉장히 적게 들어 있다 그러면 밀리그램이나 마이크로그램을 얘기하는데 이 나노그램은 마이크로그램의 1000분의 1에 해당되는 양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숫자를 써놓고 5배, 10배 이러니까 굉장히 많이 나온 것 같은데 굉장히 적은 양이 검출됐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환경부의 이 유해물질 검출 실력이 굉장히 향상됐다, 이런 뜻이고요. 그런데 그걸 너무 그냥 정보 없이, 소개 없이 마구 발표를 하니까 필요 이상으로 걱정이 과장되는 것 같아서 좀 우려스럽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에 과불화화합물 가운데서도 문제가 된 게 과불화헥산술폰산이라는 것인데요. 이게 주민들에게 일각에서 발암 물질으로 알려져서 불안감이 커지는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발암물질이 아니다, 이런 입장인데 어떻게 봐야 합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발암물질로 확인된 과불화물, 그러니까 이것도 사실 발암물질이라고 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62218275687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