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미정상회담 이후 곧바로 북일 정상회담을 적극 추진했던 일본 정부가 속도 조절에 나서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그사이 바뀐 일본 국내 정치 상황이 주요 변수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황보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사] <br />북미정상회담이 끝나기가 무섭게 아베 일본 총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아베 신조 / 일본 총리, (지난달 14일) : 일본과 북한이 직접 마주 앉아 납치문제를 해결해 나갈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당시 일본 언론은 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아베 총리의 평양 방문을 일본 정부가 추진하고 있다는 성급한 전망까지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북일 정상회담에 이렇게 말 그대로 '올인'하던 일본 정부 입장이 최근 소극적으로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노 다로 외무상은 언론 인터뷰에서 오는 8월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동남아국가연합, 아세안 관련 회의에서 북일 정상회담 문제를 놓고 북한 측과 접촉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제조건을 달았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인 납치문제의 진전이 있어야 북일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과 관련해서는 더 까다로운 조건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핵과 미사일을 완전히 폐기해야 제재가 완화되고, 납치 문제가 해결돼야 일본이 경제 협력에 나설 수 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북일 정상회담에 대한 일본 정부의 소극적 입장 변화는 일본 국내 정치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9월 사실상 후임 총리를 뽑는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아베 내각 지지율이 눈에 띄게 오르면서 무리하게 북일 정상회담을 추진할 이유가 적어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덜컥 정상회담을 했다 납치문제에서는 별 진전을 못 보고 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 문제가 쟁점이 돼 논란이 확산되면 총재 선거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고려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사정을 감안하면 적어도 9월 총재 선거전까지는 북일 정상이 만나더라도 단둘이 만나 장시간 뭔가를 깊이 있게 논의하기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황보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70123274304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