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이 관세 부과를 강행하자 중국도 즉각 반격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미국과 똑같이 34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25%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연결합니다. 박희천 특파원! <br /> <br />중국도 공언한 대로 맞대응에 나섰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정부는 미국 시각 6일 0시인, 이곳 시각 정오를 기해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보복 관세 조치를 시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545개 품목, 34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25%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두와 같은 농산물과 자동차 등이 주요 대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적인 표밭을 겨냥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2주 안에 화학제품과 의료 설비, 에너지 제품 등 160억 달러, 114개 품목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총 500억 달러로, 미국과 똑같은 규모의 맞대응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미국보다 시차가 12시간 앞서기 때문에 오늘 새벽 0시를 기해 관세 부과를 할 수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은 무역전쟁의 방아쇠를 먼저 당겼다는 모양새를 피하려 미국이 과세를 부과하는 시점에 맞춰 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정부는 무역전쟁을 원치는 않지만 미국의 무역패권주의에 머리를 숙이지 않을 것이라며 결사 항전의 의지를 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리커창 총리와 왕이 외교부장 등이 나서 같은 처지에 내몰리고 있는 유럽연합, EU를 향해 "자유무역을 함께 수호하자"며 공동 전선을 펼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중국 언론들도 일제히 미국을 비난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관영 인민망은 미국의 행태는 세계 경제와 다른 국가의 이익을 고려치 않는 이기적 패권주의며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 원인은 미국의 저축 부족과 과도한 소비에 있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70614032597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