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내리고, 금통위도 5회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 금통위에서는 인상 소수의견이 등장하면서, 시장에서는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인데요. <br /> <br />그 시점에 대해서는 전망이 다양합니다. <br /> <br />박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 사상 최저금리를 벗어난 이후 8개월째 제자리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번 달 금통위에서는 그동안 만장일치 동결 결정에서 벗어나 인상을 요구하는 소수의견이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JP모건과 모건스탠리 등 해외투자은행들은 당장 다음 달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지난해 10월 금통위에서 인상 소수의견이 나온 뒤 11월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인상 소수의견에 이어 금리를 인상하는 이런 공식이 이번엔 통하기 힘들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주열 총재도 소수의견을 금통위의 공식적인 인상 신호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라고 밝혀 속도를 조절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미·중 무역분쟁과 달러화 강세 등으로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진 불확실성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 : 주요국 간의 무역분쟁이 처음에는 그렇게 확산하지 않을 걸로 봤던 게 사실인데 날로 더 확대되고 있고, 사실상 그 향방을 가늠하기가 대단히 어렵습니다.] <br /> <br />단기적으로 미·중 무역분쟁이 완화될 가능성이 적은 데다, 고용 등 경제지표가 받쳐주지 않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에 나서기는 힘들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 만큼 금리를 올려도 4분기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[조영무 / LG 경제연구원 연구위원 : 앞으로 수개월 동안 발표되는 경제지표들이 부진하다거나 가장 커다란 경제 불확실성으로 지목되고 있는 미·중 무역갈등이 쉽사리 봉합되지 않는다면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시기는 4분기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.] <br /> <br />올해 남은 금통위는 8월과 10월, 11월 모두 3차례, 금통위 소수의견 등장과 함께 금리 인상이 연내에 한 차례 이뤄질 것이란 전망은 확실해지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영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71505141253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