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과 미국의 관계 개선 협상이 장기전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북미 협상 진전을 위한 돌파구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해 정부는 종전 선언을 성사하는 노력을 추진하고 있지만, 미국 언론에서 북한의 미사일 생산 관련 보도가 나오는 등 평화 체제 구축에 제동을 거는 움직임도 날로 커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초부터 초고속으로 진행되던 한반도 안보 정세 변화는 북한과 미국의 관계 개선 협상이 헛도는 양상을 보이면서 곳곳에서 상황 악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남측에 대해 대북 제재 굴레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남북 경제 협력에 적극 나서라면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북한이 비핵화 조치에 나서기 전에는 제재는 유지돼야 하고, 종전선언도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미국에서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지면서 이번에도 사기극을 벌이고 있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공개적, 또는 비공개적 차원에서 적극적인 외교 노력을 전개하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ARF 즉 아세안 지역 안보 포럼에서 종전선언 논의를 포함한 북미 협상이 진전하는 돌파구 마련을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강경화 / 외교부 장관 : 우리가 추진하는 비핵화, 한반도 평화 정착, 이런 것들에 대해서 주요 나라들하고는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하고, 그 밖에 다른 나라로부터는 지지도 많이 받고...] <br /> <br />이에 앞서 한미, 한중 간에 잇따라 비공개 고위급 협의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는 양제츠 중국 공산당 정치국원의 한국 방문을 계기로 종전선언 문제에 대한 입장을 교환했고, 서훈 국가정보원장은 최근 미국을 방문해 북미 협상 진전을 위한 공조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우리 정부가 다양한 방식으로 돌파구 마련에 나서는 것은 적절하지만, 문제는 단편적이고, 임기응변 차원의 대응으로는 이를 찾기 어렵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비핵화와 종전선언, 북미 수교, 대북 제재 해제 등 복잡한 요소들을 선순환 구조로 묶어내는 로드맵을 관철하고, 평화 외교 노력을 방해하는 다양한 세력을 제압하는 것은 쉬운 과제가 아닙니다. <br /> <br />한반도 안보 정세 격변이 주춤하는 상황에서 우리 정부는 체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73121002982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