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대입제도 개편에서 수능 절대평가 전환이 무산되면서 정부의 교육개혁도 뒷걸음질 쳤습니다. <br /> <br />핵심 교육공약들이 줄줄이 다음 정부로 넘어가면서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거셉니다. <br /> <br />최아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재인 정부의 주요 교육공약이 줄줄이 차기 정부로 밀려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1호 교육공약이었던 '고교학점제' 전면 도입은 애초 2022년에서 2025년으로 늦춰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상곤 /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: 학점제형 새 교육과정이 본격 적용되는 2025학년도 고1이 대학에 진학하는 시점까지 약 10년에 걸쳐서 고교학점제를 완성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'고교학점제'는 고등학생들이 대학처럼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듣는 제도로, 수능과목 쏠림을 막기 위해선 정시 축소와 수능 절대평가가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2022학년도 대입개편 결과, 오히려 정시가 확대되면서 실현이 어려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고교학점제와 발맞춰 시행하려던 고교 내신 절대평가도 다음 정부 몫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진보 성향 교육단체는 당장 비판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식 / 좋은교사운동본부 공동대표 : 문재인 정부가 교육을 포기했습니다. 그 공약들을 다 파기하면서 아이들의 새로운 교육을 향한 그 흐름을 역행하는 결정들을 강요했습니다.] <br /> <br />보수 성향 단체도 불만을 나타내며 김상곤 사회부총리의 사퇴를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종배 /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대표 : 아무런 근거가 없는 정시 30% 수치를 제시한 것은 1년 동안 진행한 여론 수렴과 공론화 과정을 모두 무시하고 부정한 것으로써 국민의 뜻을 무시한 독단적 결정이자….] <br /> <br />공교육을 정상화하겠다며 정부가 내세운 교육개혁이 줄줄이 후퇴하면서 공약을 파기했다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아영[cay2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081718305443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