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1년 동안 음식점 10곳이 새로 장사를 시작할 때, 기존 음식점 9곳 이상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6년 만에 가장 높은 비율인데요. <br /> <br />대표적인 서민 창업 업종인 음식점 경기가 그만큼 좋지 않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강진원 기자! <br /> <br />음식점 사업 신규 신고 대비 폐업 비율이 6년 만에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면서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국세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 1년 동안 새로 사업자 등록을 한 음식점은 18만 천여 곳입니다. <br /> <br />같은 기간 문을 닫은 음식점은 16만 7천 곳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비율로 따지면 92%, 음식점 10곳이 창업할 때 9곳 이상은 장사를 접었다는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1년 93.8%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. <br /> <br />국세청이 분류한 14개 업태 중에선 광업에 이어 2번째로 폐업 비율이 높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평균 70.7%를 크게 웃돕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문을 닫는 음식점이 많다 보니, 음식업에 종사하는 사업자의 비중도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기준 72만 2천 명으로 전체 사업자의 9.99%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역대 처음으로 10% 아래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 둔화와 고용 부진에 따른 소비 위축이 음식점 경영에 직접적인 타격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1인 가구 증가와 혼술·혼밥 문화 확산 등 구조적인 요인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최저 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회식 감소 등도 음식업 경기의 악재로 꼽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부가가치세 면세 대상과 상가 임대차 보호 대상을 확대하는 내용 등이 담긴 자영업자·소상공인 지원 대책을 마련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YTN 강진원[jinw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81814030640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