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투기지역 추가 지정 등을 통해 시장 안정 기조를 강화했지만, 효과는 크지 않을 거란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 1년여 동안 각종 수요 억제책으로도 집값을 잡지 못한 데다 상승 불씨가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하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예상했던 대로 정부는 더 많은 지역에서 수요를 옥죄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집값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 전역은 이미 지난해 8·2 대책 당시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상황. <br /> <br />여기에 '투기지역'이란 족쇄를 하나 더 채우더라도, 달라지는 건 주택담보대출을 가구당 1건으로 제한하는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단기 투기 수요자의 상당수는 대출을 받지 않아도 집을 살 여력이 있기 때문에 투기 억제 효과가 크지 않을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주식시장의 수익률이 낮아 시중의 유동 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몰리고 있는 데다, '똘똘한 한 채'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는 더 심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개발 보류 발표에도 불구하고 여의도·용산의 통합 개발 계획에 대한 기대감이 남아있는 것도 여전히 집값 상승의 불씨가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매물은 급감한 가운데 수요는 일정 지역으로 몰리면서 매도자 우위 시장이 형성된 겁니다. <br /> <br />수요만큼 공급이 늘어나야 가격이 안정될 수 있는데, 정부는 공공 택지를 늘려 30만 호를 공급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함영진 / 직방 빅데이터 랩장 : 여분의 택지가 많지 않은데 노후화된 단지는 많은 반면, 개발 호재는 집중된 상황입니다. 특정 지역에 공급 확대책을 장기적으로 병행해야….] <br /> <br />다만, 현재 주택 시장은 한두 건이 비싸게 거래되면, 그 가격이 시세로 굳어지는 '가격 착시 현상'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가격이 곧 고점을 찍고 안정화될 거란 의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고종완 / 한국자산관리원장 : 전매제한뿐 아니라 대출 규제도 있고, 세금도 양도세·종부세가 강화되기 때문에 집을 사서 집값 상승에 따른 기대 수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서울 집값 상승에 기름을 부었다는 비판을 받은 박원순 서울 시장이 마스터 플랜을 접은 지 하루 만에, 정부도 과열된 부동산 시장에 또 다른 경고 메시지를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그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 시각이 우세해 집값 안정 여부는 당분간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하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82718031723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