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안정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은 오히려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같은 기간 지방의 아파트 가격은 하락 세를 이어가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26일 박원순 서울시장은 여의도와 용산 개발 계획을 전면 보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집값이 '이상 과열' 조짐을 보였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박원순 / 서울시장 (지난달 26일) : 서울시는 여의도·용산 마스터플랜 발표와 추진은 현재의 엄중한 부동산 시장 상황을 고려해 주택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보류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다음 날엔 정부가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4개 구를 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하고,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신규 공공택지 30곳을 더 조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김흥진 /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관 (지난달 27일) : 교통이 양호한 지역에 택지를 추가로 발굴함으로써 도심 내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입지를 찾아보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이후 서울의 아파트 가격은 상승 폭이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 산하 공기업인 한국감정원이 조사한 지난 3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의 주간 상승률은 0.47%. <br /> <br />부동산 대책이 나온 지난달 27일 기준 상승률 0.45%보다 0.02% 포인트 높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강동구의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보다 1% 넘게 올랐고, 동작구는 0.6%의 상승률을 기록해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송파구와 서초구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도 0.6%에 육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 : 가을 이사 철이 예년보다 빨리 시작된 데다 과열 분위기가 계속되면서 상승률이 다소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됩니다.] <br /> <br />반면, 같은 기간 지방의 아파트값은 0.07% 내려가며 하락 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집값이 쉽게 잡히지 않는 가운데 서울과 지방의 가격 격차까지 더욱 커지면서 주거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조만간 신규 공공택지 공개 등 공급 확대 방안과 수요 억제책이 담긴 부동산 시장 안정 대책을 추가로 내놓을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진원[jinw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090614174068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