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은 지난 2013년 시진핑 국가 주석이 제안한 국가 발전 계획 일대일로 정책 출범 5주년을 맞아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대일로 정책에 대해 개발도상국 중심의 새로운 국제 협력 모델이라는 평가도 있지만, 미국에 대항하는 중국 세력권 구축, 또는 중국의 이익만을 위한 정책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내부적으로는 중국 전역을 외국과의 교류 거점으로 발전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013년 9월 7일, 카자흐스탄을 방문한 시진핑 주석이 중국과 중앙아시아 협력 증진을 제안하면서 시작된 일대일로 정책. <br /> <br />35년간 대규모 투자를 통해 중국과 주변 국가의 경제-무역을 확대한다는 국가 발전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5년이 지난 지금은 아프리카 지역까지 확산하는 운명 공동체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탈바꿈했습니다. <br /> <br />[시진핑 주석 : 중국은 아프리카에 대한 정부 차원의 금융 지원으로 추가로 미화 60억 달러를 제공하고자 합니다.] <br /> <br />중국 내부적으로 일대일로는 지방 정부를 외국과의 교류 협력에 적극 참여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동북지역에 자리 잡은 헤이룽장성은 유럽과 동아시아를 연결하는 일대일로 정책의 교통 요지로 자리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[다이쉬 / 헤이룽장성 혁신위원회 과장 : 일대일로는 전체적인 개념이고, 하위 개념으로 6개의 경제협력 회랑이 있습니다. 헤이룽장은 '중-몽-러' 회랑에 적극 참여합니다.] <br /> <br />러시아와의 연계는 단순히 철도나 항공편을 넘어서 온라인 연계망을 활용해 아웃소싱, 즉 원격 용역 제공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양성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황쉬앤메이 / 헤이룽장성 소프트웨어 과장 : 이 지구의 환경 건설, 공공 시설에 대한 플랫폼 건설. 예를들면 온라인 플랫폼 등은 국가의 국가과기부, 상무부 등으로부터 기금 지원을 받았습니다.] <br /> <br />헤이룽장성 곳곳에서 진행되는 대형 물류 창고 건설 현장은 국제적 차원에서 물류 거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 헤이룽장성 지역은 추운 날씨 등으로 중심보다는 주변 지역으로 알려져 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지금은 일대일로의 영향으로 철도를 통해 유럽과 중국 남부,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거대한 경제 협력의 중심지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헤이룽장성 하얼빈에서 YTN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90803265421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