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다에서 배의 위치를 알려주는 장비가 V-PASS라는 장비인데요. <br /> <br />이 장비를 자신의 배에서 떼어 다른 배에 싣고 운항하면서 출입항 기록을 조작하던 어민들이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면세유를 받기 위한 일종의 사기인데, 해경의 구조 업무에 치명적인 혼선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박종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조업을 마치고 항으로 들어오는 어선에 해경이 올라가 수색합니다. <br /> <br />배에서는 V-PASS 즉, 어선위치발신장치 두 대가 발견됩니다. <br /> <br />하나는 이 배의 장비가 맞지만 다른 하나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V-PASS는 배의 위치를 발신해 출입항 이력이 자동으로 기록되도록 해주는 장비. <br /> <br />그러니까 어선 하나에 V-PASS 두 대를 싣고 운항해 출항하지 않은 배가 출항했던 것처럼 꾸민 겁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하는 이유는 출입항 기록을 남겨 면세유를 받아 챙기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어민은 배가 고장이 나서 그랬다며 둘러댑니다. <br /> <br />이런 식으로 면세유 2만 6천ℓ를 빼돌리던 어민 11명이 해경에 적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런 식으로 운항하면 해경의 경비 업무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점. <br /> <br />실제로 해경은 V-PASS 이상 신호를 접수하고 출동했다가 구조 작업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고 해역에 출동했지만, 이상 신호를 보낸 배가 보이지 않아 침몰한 줄 알았던 겁니다. <br /> <br />알고 보니 한 어선이 다른 배의 V-PASS를 어창에 두고 운항했던 겁니다. <br /> <br />[안철준 / 창원해양경찰서 수사과장 : 잘못된 조난 신호로 경비정이 이동하게 되면 경비 세력의 공백이 생깁니다. 이론 인해서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을 놓치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얕은 욕심이 자칫 해경 구조 업무에 치명적인 혼선을 줄 수 있는 V-PASS 부정 사용. <br /> <br />해경은 이런 사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집중 단속을 펼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종혁[johnpar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091121212209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