남북 간 군사적 위협을 완전히 제거하고 종전선언에 준하는 군사긴장 완화를 구축하는 것은 제3차 남북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입니다. <br /> <br />남북 군사 당국은 판문점 선언을 청사진으로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논의해 왔는데, 이번에 포괄적인 군사 분야 합의문에 최종 서명이 이뤄질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판문점 선언 2조 1항은 육·해·공 3면에서의 남북 간 군사적 위협 해소를 명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: 이제 우리가 사는 땅, 하늘, 바다 어디에서도 서로에 대한 일체의 적대 행위를 하지 않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[김정은 / 北 국무위원장 : 이 합의가 역대 북남 합의서들처럼 시작만 뗀 불미스러운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우리 두 사람이 무릎을 마주하고….] <br /> <br />남북은 3차례의 장성급 군사회담과 2차례 실무회담을 통해 판문점 선언 이행 방안을 논의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최전방 GP 시범 철수와 판문점 JSA 비무장화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합의에 이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또 6.25 전사자 유해 공동 발굴을 위한 사전 조치로 강원도 철원 지역 비무장지대(DMZ)의 추가 지뢰 제거도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이 구간을 지나는 경원선 철로와 3번 국도 복원까지는 아직 협의가 더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동엽 /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실장 : 북한이 만들어 놓은 철책은 대남용일 수도 있지만, 내부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용도일 수도 있어요.] <br /> <br />이밖에 서해 최전방 우발 충돌 방지를 비롯해 비행금지구역 확대 등 하늘과 바다의 DMZ 구축도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숙제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남북 정상은 군사 긴장 완화와 단계적 군축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대화 기구로'군사공동위원회' 설치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합의안 도출을 시도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임종석 / 대통령 비서실장 : 이런 남북 간 합의의 진전이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 등을 촉진할 수는 있지 않겠나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원만한 합의가 이뤄질 경우, 남북 정상이 지켜보는 가운데 우리의 국방부 장관과 북측의 인민무력부장이 합의문에 최종 서명하게 되는 만큼, 퇴임을 앞두고 있는 송영무 장관의 마지막 임무가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 기자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091720015258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