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북미 협상장소 왜 오스트리아? "사찰 의견 접근" / YTN

2018-09-20 5 Dailymotion

미국이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 재개를 밝히면서 오스트리아 빈을 대화 장소로 정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빈은 핵 사찰의 상징 격인 국제원자력기구 본부가 있는 곳인데, 그래서 평양 공동선언에는 담기지 않은 더 진전된 내용이 있는 것 아니냐는 궁금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임장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남북 정상의 '평양공동선언' 이후 미국은 북한과의 협상을 즉각 재개하겠다고 밝히면서 그 장소로 오스트리아 빈을 콕 찍었습니다. <br /> <br />빈은 그동안 북미대화의 사례가 거의 없었던 곳이지만, 핵 사찰을 담당해온 국제원자력기구의 본부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 또한 빈에 본부를 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가장 중요하게 내세워온 '비핵화 검증', 즉 북한 핵사찰의 구체적 논의를 위한 장소 선택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평양공동선언에는 북한이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'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아래' 우선 영구적으로 폐기한다고 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선언 발표 1시간 만에 이 표현에 대해 "김정은 위원장이 핵사찰을 허용하는 데 합의했다"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폼페이오 국무장관도 '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'이라는 문구를 미국과 국제적 사찰단의 참관으로 구체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이렇게 즉각적으로 긍정적 반응을 보인 것은, 비핵화 검증과 관련해 북한이 평양공동선언 문구보다 더욱 진전된 내용을 제시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[문정인 /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 : 분명히 선언문에 담지 못한 김정은 위원장의 메시지가 있을 것입니다. 그것을 우리 문재인 대통령이 다다음 주죠. 뉴욕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게 되면 직접 전달할 것이고…] <br /> <br />IAEA를 통한 핵사찰 방식은 물론 그 시기까지 북미 간에 이미 어느 정도 의견 접근이 이뤄졌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임장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092015405358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