적절한 의료서비스가 있었으면 살릴 수 있었던 사망자 비율이 지역별로 최대 3.6배나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이런 의료 격차를 좁히기 위해 지역 공공 의료를 책임질 병원을 지정하고 공공보건의료대학원도 설립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수도권과 대도시로 병원과 의료진이 집중되면서 지역 간 의료 격차가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적절하게 치료받았으면 피할 수 있었던 사망은 인구 10만 명당 서울은 44명이지만 충북은 58명, 서울 강남구는 29명에 그쳤지만, 경북 영양군은 107명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런 의료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권역별로 공공의료를 책임질 병원을 지정하고 필요하면 공공병원도 신축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능후 / 보건복지부 장관 : 전국을 17개 권역과 70여 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권역과 지역별로 공공보건의료 책임의료기관을 지정하고 부족한 지역은 육성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의료 취약지인 농어촌에서 진료하면 건강보험 수가를 올려주는 제도도 도입합니다. <br /> <br />응급의료체계도 손질해 급성심근경색이나 뇌졸중 환자의 응급실 도착 시간을 현재 240분에서 180분 이내로 단축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공 의료 인력도 직접 양성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해 전북 남원에 4년제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원을 설립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학비 전액을 국가에서 지원받되 의사 면허를 딴 뒤엔 취약지에서 10년간 의무적으로 근무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박능후 / 보건복지부 장관 :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을 2022년 3월까지 설립하여 시도별 학생 배분과 공공의료에 특화된 교육을 통해 지역사회의 핵심 공공의료인력으로 양성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또 의대 입학 때 장학금을 주고 일정 기간 지역에서 일하게 하는 '공중 보건 장학 제도'도 부활시켜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좁히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8100117390889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