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 교육위원회에서는 서울시와 경기도 교육청에 대한 국정감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불거진 사립유치원 비리 관련 질의가 오늘도 이어졌는데요. <br /> <br />시도교육청의 부실 감사가 도마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염혜원 기자! <br /> <br />자, 먼저 사립유치원 비리 의혹부터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교육위 국정감사에서도 관련 질의가 이어지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치원 명단을 공개한 민주당 박용진 의원은 오늘 서울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을 상대로 문제 제기를 이어갑니다. <br /> <br />특히 사립유치원을 관리 감독하는 시도 교육청의 감사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에 공개된 비리의 내용이 충격적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많은 학부모들이 분노하고 있는데, 내용을 다시 한 번 짚어보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최근 5년 전국 시도교육청의 감사에 적발된 유치원 명단이 공개된 겁니다. <br /> <br />1,800여 개 유치원에서 5천 9백여 건이 적발됐는데, 돈으로 치면 269억 원이 교육이 아닌 다른 목적으로 쓰였습니다. <br /> <br />돈을 쓴 내역을 보면 기가 막힙니다. <br /> <br />명단을 공개한 민주당 박용진 의원의 질의 내용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박용진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지난 11일) : 유치원의 교비를 갖고 유치원 원장 핸드백을 사고, 노래방, 숙박업소에서 사용하고, 심지어는 성인용품점에서 용품을 샀습니다. 원장 개인차량의 기름값, 차량 수리비, 자동차세, 아파트 관리비도 여기서 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뿐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유치원 교비를 설립자 개인 명의 통장에 1억 8천만 원이나 쌓아두다가 걸렸는데, 명목이 교직원 복지적립금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설립자 명의로 6천만 원을 만기환급형 보험에 넣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교재, 교구를 사면서 리베이트를 받은 곳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보다 많은 돈을 업체에 보내고 차액을 돌려받는 겁니다. <br /> <br />유치원 돈으로 내야 하는 연합회 회비를 몰래 교비에서 낸 곳도 많았는데, 수백에서 수천만 원까지 집행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또 사립유치원은 가족들이 주요 직책을 맡아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서 상여금 등으로 설립자가 뭉칫돈을 가져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한 유치원은 원장은 설 상여금이 790만 원, 사무직인 배우자는 650만 원을 받고는 유치원 선생님들에게는 5만 원씩만 주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세금 신고도 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국공립 교육기관과 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01512091258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