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앞두고 일본 언론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지 언론은 일본 기업의 배상 판결 가능성에 무게를 두면서 그럴 경우 한일관계 악화가 불가피하다는 전망을 쏟아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황보연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사] <br />"배상명령 나온다면 한일관계 악화!" <br /> <br />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을 앞두고 일본 산케이신문이 실은 기사 제목입니다. <br /> <br />산케이는 우선 지난해 8월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일본 기업에 대한 개인의 배상 청구권은 존재한다고 말한 것을 거론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이번에 대법원이 일본 기업에 배상을 명령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예상의 배경으로는 '국민감정'을 들먹였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에서는 국민감정이 정부 정책과 사법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한 겁니다. <br /> <br />배상 판결이 나면 한일관계는 근본부터 흔들려 외교와 경제협력에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적었습니다. <br /> <br />마이니치신문은 1965년 청구권 협정으로 강제징용 청구권 문제가 다 끝났다는 게 일본 정부 입장인데 만일 배상 명령이 나오면 그 기반이 무너져 분명히 한일관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일본 정부는 일본 기업의 패소를 가정한 대책도 검토하고 있지만, 우선은 한국 정부의 대응을 지켜볼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신문도 배상명령이 나올 가능성이 크며 그럴 경우 해당 기업에 대한 자산 압류 절차가 뒤따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언론과 달리 일본 정부는 기존 주장만 되풀이하며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스가 요시히데 / 일본 관방장관 : 재산 청구권 문제는 한일 청구권 경제협력 협정으로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됐다는 게 (일본 정부 입장입니다)]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그러나 내부적으로 일본 기업의 배상 결정에 대비해 국제사법재판소에 우리 정부를 제소하거나 주한 일본대사를 일시 귀국시키는 방안 등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황보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103001182075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