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의 미사일 기지 논란과 관련해 우리 정부와 미국은 "이미 지켜보고 있던 곳"이라며 새로운 정보는 없다고 일축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미신고 미사일 기지라는 점이 부각되면서 논란이 증폭됐는데요, 북한의 미사일 기지는 모두 미공개 기지인지, 아니면 그동안 어디까지 공개됐는지 한연희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"황해북도 삭간몰 일대에서 발사된 미사일은 강원도 원산을 지나…." <br /> <br />미국의 민간 연구단체인 국제전략문제 연구소, CSIS에서 미신고 미사일 기지라고 보고한 '삭간몰'은 지난 2016년 3월부터 알려진 곳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단거리 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면서 이미 정보 당국이 주시하고 있던 곳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노재천 / 합참공보실장(어제) : 해당 지역도 우리 군과 한미 공조 하에 감시하고 있는 지역입니다.] <br /> <br />CSIS가 20곳 정도의 미신고 미사일 기지 가운데 13곳을 확인했고 관련 보고서도 계속해서 나올 것이라 예고했지만, <br /> <br />다른 곳 역시 우리 군 당국이 이미 파악하고 있는 곳일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영국 군사 매체인 '제인스'에 나타난 북 미사일 기지 현황으로 한미 군 당국이 정밀 감시하고 있을 북한 미사일 기지를 추정해볼 수 있는데, <br /> <br />DMZ에서 가장 가까운 전방에는 사거리가 300~500km인 스커드 계열 단거리 미사일 기지 3곳이 배치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해안을 따라서는 일본과 알레스카까지 공격이 가능한 사거리, 최대 5,000km인 화성 12형 등 중거리 미사일을 쏠 수 있는 기지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장 거리가 먼 후방에는 노동미사일 기지와 함께, 사거리가 최대 만km 이상인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기지가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역 3곳과 내륙 1곳 등 4곳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CSIS에서 확인했다고 주장하는 13곳은 이곳들로 추정되는데, 여기에 흩어져있는 소형 미사일 기지까지 합하면 북한에 20곳 안팎의 미사일 기지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물론, 최근 들어 미사일이 계속 개량되고 있는 만큼 이런 미사일 기지가 큰 의미가 없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지난해 7월, 이미 기지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식 발사대를 이용한 미사일 발사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신종우 / 한국국방안보포럼 책임분석관 : 이동식 발사대를 통해서 북한이 언제든지 자기들 마음먹은 곳에서 쏠 수 있잖아요." "한미 연합군이 기지를 공격하더라도 빨리 이탈해서 다른 곳에서 공격하려고 하는 거죠.]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11422083679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