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년 경제성장률이 잇따라 하향 조정된 가운데 대다수 국민 역시, 내년 살림살이가 팍팍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시민들은 경제 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, 물가 안정과 가계소득 증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문가들이 바라본 내년 한국 경제는 올해보다 더 어둡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IMF와 OECD가 줄줄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데 이어 한국은행도 2.7%로 낮췄습니다. <br /> 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 (지난 10월) : 수정된 성장 전망치를 평가해 보면 2, 4분기 실적치 등이 반영돼서 다소 하향 조정됐지만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….] <br /> <br />여기에 현대경제연구원 역시 두 달여 만에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.5%로 또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원들이 내놓은 전망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로 세계 경제 둔화와 국내 소비심리 악화, 금리 상승 등을 하향 요인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점점 팍팍해지는 경제를 시민들도 느끼고 있기는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성인남녀 천여 명에게 물어보니, 10명 가운데 7명꼴로 내년 살림살이가 더 나빠질 것으로 생각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경제성장률 저하와 가계 부채 증가, 민간 소비 부진 등이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반대로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을 가장 많이 필요로 했고, 물가 안정과 가계소득 증대도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홍성일 /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팀장 : 대외여건이나 대내 여건도 그렇게 우호적인 환경이 아닌 데다가 경제 주체들의 기대심리마저도 꺾여 있는 상태여서 경제 심리를 회복할 획기적인 대책이나 정책 변환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경제 회복을 위한 뚜렷한 돌파구가 좀처럼 보이지 않으면서 국민의 경제 체감도는 점점 더 냉랭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아영[cay2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21618060041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