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7월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'마린온' 추락 사고의 원인은 해외 업체가 납품한 불량 부품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국산 헬기를 표방하는 마린온의 국내 제작 업체 '카이 (KAI)'나 군 당국의 운용 관리 책임 등은 빠진 결론 이어서 한계로 지적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7월, 이륙 3초 만에 회전 날개가 떨어져 나가며 추락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'마린온'. <br /> <br />불과 10 미터 상공에서 떨어졌지만, 동체에 불이 붙으면서 탑승자 5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개월 동안의 사고 원인 조사 결과 불량 부품 탓이었다는 최종 결론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회전날개와 엔진을 연결하는 '로터마스트'라는 부품을 만드는 프랑스 업체가 금속 열처리 공정을 잘못한 게 화근이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권재상 / 민·관·군 합동조사위원장 : 사고는 로터마스트 파단으로 인해 메인 로터가 탈락 되면서 발생했으며, 로터마스트 파단은 소재 제작 시 발생한 균열이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] <br /> <br />해당 업체는 공정 오류를 알고도 그대로 납품해 사고 헬기뿐만 아니라 육군 수리온 헬기 2대에도 불량 부품이 탑재됐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위는 업체 측도 잘못을 인정했다며 앞으로 소송을 통해 보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의 책임 주체가 불분명하다 보니, 유가족들은 절차도 낯선 국제 소송을 통해 억울함을 풀어야 할 처지입니다. <br /> <br />[노승헌 / 마린온 추락사고 유가족 (고 노동환 중령 부친) : 국제 재판 같으면 법무법인도 경쟁력 있고 뭔가 밝혀 줄 큰 데로 가야 하고 더 어렵지 않겠습니까?] <br /> <br />군 당국은 프랑스 정부의 품질 보증과 부품 검수 강화 등을 후속 대책으로 내놨지만, 실효성은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[신종우 / 국방안보포럼 선임분석관 : 마린온 제작은 민간 방산 업체끼리의 계약으로 진행되는데요. 갑자기 프랑스 정부가 나서서 품질 보증을 서 준다는 건 다른 차원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무엇보다, 사고 책임을 가리기도 전에 불량품을 납품한 업체의 부품을 계속 수입해 쓸 수밖에 없는 것이 '국산 헬기' 마린온의 현주소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22205360956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